1. 브랜치 관리1.1 브랜치 연결처음에 디렉토리 생성 후, remote repository와 local repository를 연결해야 한다.만약 연결없이 git 사용 시, fatal: not a git repository (or any of the parent directories): .git 를 보게 된다....1) git init - .git 생성 및 추적 시작2) git remote add origin git@github.com:/.git - local에 remote 추가3) git branch -M main - 기본 브랜치명 master -> main4) 연결할 파일 생성 후 git add 5) git commit -m "connect git remote repository" 6) git ..
1. Conflict: 두개 이상의 브랜치에서 동일한 파일을 동시에 수정하고 병합할 때 발생하는 문제(소통의 부재,,, 리뷰를 제외한 코드 건들기,,,,) 2. 해결 방안2.1 Fast-Forward Merge: Local에 어떠한 작업도 없을 때,: Remote의 작업물을 그대로 가져옴(remote의 FETCH_HEAD == 로컬 HEAD)명령어 git fetch + git merge origin/main git merge --ff origin/main - Default, 병합 시 Fast-Forward를 강제git pull --ff-only origin main - 원격 저장소에서 Fast-Forward만 허용하여 병합 설정: git config pull.ff only - Fast-Forward만을..

1. HEAD1.1 FETCH_HEADgit fetch 를 통해 원격 저장소에서 최신 커밋을 가져온 상태일 때,원격 저장소의 최신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병합 시, 해당 포인터가 가르키는 곳까지 현 브랜치에 병합1.2 HEAD현재 작업 중인 로컬/원격 브랜치의 가장 최근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remoto에서의 head: 원격 저장소에서 기본 브랜치를 가리키는 포인터: 원격 저장소의 origin의 기본 브랜치가 main 이라면, origin/HEAD -> origin/mainlocal에서의 head: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1.3 ORIG_HEAD현 head가 가리키는 커밋 바로 직전의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 최신 커밋을 가리키는게 head라면 그 head 위치의 뒤로가기 역할 ..

0. remote repository: 대체로 origin 사용, 다른 별칭 사용 가능1. remote의 CRUD1.1 Read# remote의 branch 조회git remote # 연결된 모든 원격 저장소 조회git remote -v # 원격 저장소 상세 조회# remote 조회git remote show # 해당 원격 저장소의 상세 정보 조회1.2 Create- 저장소와 연결의 의미에서 creategit remote add # 새로운 원격 저장소 추가 → origin or 다른 원격 저장소 별칭 가능1.3 Update- 연결된 변경git remote set-url # 전체 변경git remote set-url —push # 일부 변경 - 연결된 변경git remote rename ..

1. branch의 CRUD1.1 Create1) remote repository의 경우를 통해 원격 저장소 내 브랜치 생성 2) local repository의 경우git checkout -b # 새 로컬 브랜치 생성 및 이동1.2 Readgit branch -r # 원격 브랜치 보기git branch -l # 로컬 브랜치 보기git branch -a # 로컬 + 원격 보기 이 때, git bash에서 원격 브랜치의 상태를 업데이트 해줘야 하는데git fetch # 원격 저장소 내 삭제된 브랜치 로컬에 반영 Xgit fetch -p # 원격 저장소 내 삭제된 브랜치 로컬에 반영 Ogit fetch 는 remote에서 local로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는 명령어새로운 커밋, 브랜치를 local에 가져..

0. git 개념구분gitgithub목적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(VCS)git, 클라우드 기반의 코드 호스팅 및 협업 플랫폼기능로컬 코드 관리 중앙 코드 관리 협업 관리 저장소Local RepositoryRemote Repository인터페이스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(CLI)웹 UI 및 CLI 제공 1. git bash 설치(window 기준)Git을 통해 다운 및 설치 Git git-scm.com2. 생성 및 연결2.1 github 계정 및 repository 생성https://github.com 를 통해 계정 생성 후저장소 생성2.2 local - remote 연결: github의 remote - local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HTTPS or SSH HTTPS : 명시적 ID/PW 작성 -> 키로..

0. Express.js : Node.js 위에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특징1) 간단한 API를 제공 2) 미들웨어 제공3) 쉬운 라우팅(HTTP 요청에 대한 경로와 처리를 쉽게 설정)4)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0.1 Express.js 설치: node.js 기반 프레임 워크이기 때문에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 Express 설치cd 폴더명npm init -ynpm install express0.2 실행: index.js 파일 생성const express = require("express");const app = express();app.get("/", (req, res) => { res.send("I am a endpoint");});app.listen(7777, () => { cons..

안녕하세요! 이어서 조작 해보겠습니다.일단 다 지우고 이거 두개만 남겼어요 ㅋㅋ...하나씩 알아가봐요.1. MIME 타입 설정1.1 MIME 타입 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Type):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는 표준: WS가 client에게 보내는 파일의 종류를 명확하여 클라이언트의 파일 처리를 돕기 위해 설정type/subtype 타입 (Type): 파일의 주요 분류서브타입 (Subtype): 세부적인 파일 형식1.2 설정 방법: 직접 설정과 외부에서 정의된 것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방법이 있음구분typesinclude mime.types설정 위치nginx.conf 파일 내에서 직접 MIME 타입을 설정외부 파일인 mime.types 파일..
안녕하세요. 이어서 작업을 해볼까 해요! 1. nginx.conf 파일 구조: nginx.conf파일은 크게 4가지의 섹션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Main (global) contextEvents contextHTTP contextServer and Location contexts: 이렇게 구분하고 추가적으로 Upstream context, Mail context, If context , Limit_except context가 있습니다.1.1 Main (global) context: Nginx 서버의 전체적인 설정 관리: 로그 설정, 사용자 및 그룹 설정, worker 프로세스 설정 등: conf파일 최상단에 위치주요 지시문# 1. user: Nginx 프로세스가 실행될 사용자와 그룹을 설정# Ex)use..

저번 포스트에서 nginx의 기본적인 개념만 알아봤습니다!이론만으로 하면 재미가 없으니 직접 설치하고 실습을 통해 더 알아봅시다!!!참고로 전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mac 설치는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..ㅎㅎㅎ...0. 설치0.1 참조된 링크를 통해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. nginx: download nginx.org0.2 압축 해제 후 해당 디렉토리 안에서 실행 파일을 찾아줍니다.파일 실행 후 창이 바로 열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요.눌렀는데 깜빡 거리면서 창이 안뜬다면 직접 localhost로 접속하보세요!1. 조작- 설치된 기본 설정을 통해 나오는 것이므로 실습을 위해서는 휘뚜루마뚜루하는 방법을 알아야겠죠?- nginx.conf를 찾아 파일을 열어줍니다.- 전 에디터로 vscode를 사용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asac#asac7기
- useReducer
- react
- useMemo
- useCallback
- asac7기
- useContext
- acac
- useRef
- asac7
- asac7#asac
- memo
- git
- useEffect
- Nginx
- acas#acas7기
- ASAC
- ssh
- useLayoutEffect
- useStat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