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0. remote repository
<name>: 대체로 origin 사용, 다른 별칭 사용 가능
1. remote의 CRUD
1.1 Read
# remote의 branch 조회
git remote # 연결된 모든 원격 저장소 조회
git remote -v # 원격 저장소 상세 조회
# remote 조회
git remote show <name> # 해당 원격 저장소의 상세 정보 조회
1.2 Create
- 저장소와 연결의 의미에서 create
git remote add <name> <url> # 새로운 원격 저장소 추가 <name> → origin or 다른 원격 저장소 별칭 가능
1.3 Update
- 연결된 <url> 변경
git remote set-url <name> <url> # 전체 변경
git remote set-url —push<name> <url> # 일부 변경
- 연결된 <name> 변경
git remote rename <old-name> <new-name> # <new-name>으로 저장소명 변경
- 원격 저장소 정보 업데이트
git remote update # 원격 저장소 내 모든 브랜치에 대한 최신 이력 정보 갱신
1.4 Delete
git remote remove <name> # <name> 원격 저장소 제거
2. 여러 remote와 local 공유
git remote add <name: 일반적으로 origin> <repository address>
를 통해 1개의 원격 저장소와 로컬의 디렉토리 연동
git remote add <other name> <other repositry address>
를 통해 alias로 지정된 다른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여 아예 다른 작업 폴더 생성 가능
=> 유의점: 이때 해당 lcal이 origin의 .git을 공유하므로 해당을 사용한 작업들은 히스토리에 남는다.
참고
asac 수업자료
'정리용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branch 관리 - 2 : Statging Area 관리 (1) | 2024.12.26 |
---|---|
[git] 충돌(conflict) (0) | 2024.12.24 |
[git] HEAD: 커밋 추적 포인터 (0) | 2024.12.24 |
[git] branch 관리 - 1 (0) | 2024.12.24 |
[git] git 시작하기 (0) | 2024.12.24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useLayoutEffect
- useMemo
- asac7기
- asac7#asac
- react
- acac
- useRef
- useState
- useEffect
- useReducer
- Nginx
- git
- useCallback
- asac#asac7기
- acas#acas7기
- useContext
- memo
- asac7
- ASAC
- ssh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