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. useState
: 함수형 컴포넌트 내부에서 상태를 정의 및 관리
: useState로 지정은 내부 변수 (= 제어 컴포넌트로, 변경 시 리렌더링O)
const [state ,setState] = useState(); // 초기값 미정의 시 undefined
: 현 상태, 세터가 제공됨
- 유의점
- setState를 통해 값을 업데이트할 경우 비동기적 업데이트임 확인해야함
- 리렌더링 시에 set~를 한번에 진행
const App = () => {
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'hello')
return (
<>
<h1>{state}</h1>
<button
onClick={() => {
setState('hi')
console.log(state) // hello
}}
>
update
</button>
</>
)
}
- setState를 통해 값이 바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 아닌 해당 ()=>{ ... } 이 끝날 때 끝나기 때문에
- console 값은 이전 값으로 반영된다.
1.2 Lazy initalization
: useState의 초기 값을 특정 값이 아닌 함수로 넣어줌
: 해당 깂이 필요할 때까지 계산을 지연 -> 큰 리소스가 필요한 로직을 지연시켜 성능 최적화
: 맨 처음 렌더링 때만 계산되어짐 -> 이후는 X
: 초기 값이 복잡하거나 비싼 계산일 경우에 유리함
const [data, setData] = useState(
Array.from({ length: 1000000 }, (_, i) => i * i)
);
// Lazy initalization
const [data, setData] = useState(() => { // 계산량이 많은 초기값
console.log('복잡한 계산 실행 중...'); // 리렌더링 발생 시, 재실행 X
return Array.from({ length: 1000000 }, (_, i) => i * i);
});
참고
asac 수업자료
모던 리액트 Deep Dive
'정리용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07-React] 6-3. React Hook :: useRef (0) | 2025.01.15 |
---|---|
[07-React] 6-2. React Hook :: useReducer (0) | 2025.01.15 |
[07-React] 5. React 초기 설정 - vite 기준 (0) | 2025.01.15 |
[07-React] 4. React에서 render와 commit (1) | 2025.01.14 |
[07-React] 2-1. React 문법 JSX (0) | 2025.01.14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sac#asac7기
- useEffect
- acac
- react
- Nginx
- useState
- asac7
- useLayoutEffect
- ssh
- useCallback
- asac7#asac
- useMemo
- asac7기
- useRef
- acas#acas7기
- useContext
- useReducer
- git
- memo
- ASAC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