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*. 심화 내용
*. 1 Docker는 왜 항상 Linux 명령어를 사용하나?
더보기
- Docker는 기본적으로 Linux 환경에서의 컨테이너화를 목표로 설계됨
=> So, Docker 자체가 Linux의 네이티브 시스템 기능을 사용하여 관리됨(Linux Containers(LXC) 기술을 기반)
=> 컨테이너화를 위해 Linux의 cgroups(Control Groups)와 namespaces를 사용
- Namespaces
:: 각 프로세스가 고유한 환경을 갖도록 분리시켜주는 기술
:: 네트워크, 파일 시스템, 프로세스 등을 격리
:: 프로세스별 FS, 네트워크, UID 등 영역 구별 - cgroups
:: 시스템 자원을 격리하고 제어하는 기술
:: CPU, 메모리, 네트워크, 디스크 등의 자원을 제한
:: 컨트롤 그룹으로 분리 -> 프로세스로 소비할 수 있는 리소스양(CPU, 메모리) 구별 조절
- Namespaces
*.2 VM (Virtual Machine) 사용 시 Guest OS 구동을 위한 Hypervisor 타입
더보기
- VM (Virtual Machine) 사용 시 Guest OS 구동을 위한 Hypervisor 는 2개 타입으로 분류
- Type 1 :: Baremetal (Microkernalized)
- Type 2 :: Hosted (Monolithic)
특징 | Baremetal (Microkernalized) | Hosted (Monolithic) |
동작 위치 | 하드웨어 위 직접 실행 (호스트 OS 없이) |
호스트 OS 위에서 실행되는 SW Layer / APP |
자원 관리 |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나누어 사용 (Microkernalized : 하드웨어 자원을 나눔을 의미) |
호스트 OS 자원을 추상화하여 나누어 사용 Monolithic :하드웨어 자원은 호스트 OS 꺼 한개뿐 |
오버헤드 | 적음 (호스트 OS를 사용하지 않아서 더 효율적) |
상대적으로 큼 (호스트 OS를 경유하므로 추가 오버헤드 발생) |
설치 / 구성 |
상대적으로 복잡 (하드웨어와 직접 상호작용) |
상대적으로 쉽고 간단 (호스트 OS 내에서 설치 가능) |
성능 | 더 우수 (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사용하기에) |
성능에 다소 영향 (호스트 OS에 의존) |
사용 Ex | Microsoft Hyper-V, WSL (Windows Subsystem for Linux) |
Oracle VirtualBox |
*.3 Window에서 Docker 설치 시, 오류 발생 이유
더보기

출처 : https://aws.amazon.com/ko/docker/

- Docker Engine은 Linux Container 기반이기 때문에 Linux가 아닌 다른 OS사용 시,
Windows와 같은 다른 운영 체제에서는 Linux 환경을 에뮬레이션하거나, Linux 커널을 사용해야 함
=> So, 윈도우에선 Hypervisor를 통 Linux(Guest) OS 구동 후 Docker Engine 구동
=> 근데 MacOS에서는 필요없다는게... Window의 눈물.... - Linux 커널을 제공하는 방법
- Hyper-V
:: Windows 운영 체제 위에서 직접 실행되는 가상화 기술
:: Hyper-V를 활성화하면, Docker는 이 위에서 Linux 기반 컨테이너를 실행 가능
:: 활성 시, Docker Desktop은 내부적으로 Linux Virtual Machine을 구동 + Docker Engine을 실행
단점 ) Hyper-V를 활성화하면 다른 가상화 소프트웨어 (예: VirtualBox)와 충돌 가능성 존재 - WSL 2 (Windows Subsystem for Linux 2)
:: Microsoft가 제공하는 경량화된 하이퍼바이저
:: 커스텀 빌드된 Linux 커널을 Windows에 제공하여 리눅스 환경을 구현
:: 별도의 가상 머신 없이 리눅스 환경을 구동 가능!!
:: 가상화 오버헤드가 적고, 리눅스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좋고, 파일 시스템 성능도 향상
- Hyper-V
참고 :: ASAC 수업자료
'정리용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ocker] 5. 명령어 분류와 Dockerfile 최적화 (0) | 2025.02.22 |
---|---|
[Docker] 4. Docker Workflow (0) | 2025.02.22 |
[Docker] 3. Docker Network (0) | 2025.02.21 |
[Docker] 2. Docker 컨테이너 (0) | 2025.02.21 |
[Docker] 1.1 Docker 개념 (0) | 2025.02.2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sac7기
- useReducer
- asac7
- Nginx
- useContext
- useState
- asac7#asac
- memo
- acas#acas7기
- asac#asac7기
- useMemo
- useRef
- ssh
- useCallback
- acac
- react
- git
- useEffect
- ASAC
- useLayoutEffec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