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해당 웹 사이트를 통해 간단하게 설정 가능
0. 라이브러리 설정
더보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bcKM/btsMa85fJS8/MCoy4sDXejaKwyiqEnYu01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U9BS/btsMbY8EYCK/pAennP7uXY1oFThzG35AN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RrG2/btsMbzVFhMY/a6bk4pDaqEoqHyT1Xkig6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fG0e/btsMcfoQeXE/1jRiIBiXKKeXWFCXbfKzJ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raycy/btsMcg2ikJS/gaHk4UjTDbEO0E2BtiVFZ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AXxX/btsMbbAURDD/3uTEWv7iwnklk0a8nboCV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3tlW1/btsL9QY4JtJ/ae9NbPtwGnu4bvHCcy1nVK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9Vdm/btsMa9wmkAU/JKhDxdWifSOsB9xxHuUFN1/img.png)
출처 :: https://start.spring.io
0-1. 서버를 위한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bcKM/btsMa85fJS8/MCoy4sDXejaKwyiqEnYu01/img.png)
:: Spring MVC 기반의 REST API or Web Page 반환을 위한 Tomcat 서버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U9BS/btsMbY8EYCK/pAennP7uXY1oFThzG35ANK/img.png)
:: REST API가 아닌 “비동기 API”를 위한 WebFlux
:: Tomcat이 아닌 Netty 사용
0-2. 코드 단축을 위한 어노테이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RrG2/btsMbzVFhMY/a6bk4pDaqEoqHyT1Xkig6k/img.png)
:: 어노테이션 기반 코드 자동 생성기
:: 불필요한 Java코드 작성 최소화 목적
0-3. 웹페이지 서빙 목적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fG0e/btsMcfoQeXE/1jRiIBiXKKeXWFCXbfKzJK/img.png)
:: 서버 사이드 템플릿 엔진
:: Spring에서 웹페이지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게 서빙 목적
서버에서 직접 설정이 아닌 프론트 코드와 연결 사용 시, 필요 X
0-4. DB 연결 위한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raycy/btsMcg2ikJS/gaHk4UjTDbEO0E2BtiVFZK/img.png)
:: Spring에서 지원하는 간편 JPA
:: DB 사용 목적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AXxX/btsMbbAURDD/3uTEWv7iwnklk0a8nboCVk/img.png)
:: DB 사용을 위한 조금 더 DB에 가까운 네이티브 JDBC
:: 여기서 네이티브의 뜻은 DB에 직접 접근 방식을 의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3tlW1/btsL9QY4JtJ/ae9NbPtwGnu4bvHCcy1nVK/img.png)
위의 드라이버를 통해 DB설정 및 연결
0-5. 보안 관련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9Vdm/btsMa9wmkAU/JKhDxdWifSOsB9xxHuUFN1/img.png)
:: OAuth 또는 Session 관리
:: API 접근 권한 제어 및 CORS 등을 위한 보안 설정
1. 용어 정리
- build.gradle
== 리액트에서의 package.json
:: 라이브러리 의존성, 프로젝트 세부 설정 등 - Gradle Restart
== npm install
:: 의존성 파일 설치(라이브러리 설치) - application.properties/yml/yaml
:: 여러 config 파일 관리(라이브러리 설정)
2. HTTP 응답 관련 용어 정리
curl -i -X PUT -H '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' \
-d '{"id":1,"title":"foo","body":"bar","userId":1}' \
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/1
- -i :: Follow Redirects
- -X :: method 종류(GET, POST, PUT, PATCH, DELETE 등)
- -H :: Header 옵션
1. Content-Type
- 해당 자료의 타입
- application/json 등
2. Accept :: 해당 타입의 자료형
- application/xml
- application/json 등 - -d :: Data, POST, PUT, PATCH와 같이 DB 수정 요청 시 필요한 Request Body(Json 타입)
참조
ASAC 수업자료
'정리용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2-2-2. Spring MVC - Servlet 객체 (0) | 2025.02.07 |
---|---|
[Spring] 2-2-1. Spring MVC - Controller의 반환 값 (1) | 2025.02.07 |
[Spring] 2-2. Spring MVC - 구조와 동작 (0) | 2025.02.07 |
[Spring] 2-1. Spring MVC - HandlerMapping (0) | 2025.02.07 |
[Spring] 2. Spring MVC (0) | 2025.02.0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git
- react
- useCallback
- useMemo
- useRef
- useLayoutEffect
- useReducer
- useContext
- asac#asac7기
- useEffect
- Nginx
- acac
- asac7
- acas#acas7기
- ssh
- memo
- useState
- asac7기
- asac7#asac
- ASAC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