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0. inferface
0.1 inferface
:: 추상화 + 다형성을 위해 사용
:: 구현 클래스를 위한 메서드 타입에 대한 명시(제네릭을 포함한..)
::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멤버와 정적 메서드 정의 가능
-> 정적 메서드 정의 시 static 생략 불가.
- 인터페이스 추상화
:: 가상 필요한 요소를 제외하고 모두 은닉
=> 인터페이스(interface) :: 구현체는 가리고 메서드만 노출
=> 추상 클래스(abstact class) :: 일부 구현체는 가리고 필요한 필드, 메서드만 노출 - default 메서드
:: 구현 클래스에서 구현하지 않아도 되는 기본 메서드
:: default 메서드의 출현으로 private 메서드 또한 사용이 가능해짐 -> default 메서드를 지원해주기 위해
:: 그래서 private 메서드는 인터페이스 내 구현 - 예시
더보기
interface Animal {
// 추상 메서드
void sound();
// default 메서드 (자바 8부터 가능)
default void eat() {
System.out.println("먹는 중입니다.");
}
// static 메서드 (자바 8부터 가능)
static void info() {
System.out.println("이것은 동물 인터페이스입니다.");
}
}
// 인터페이스 구현
class Dog implements Animal {
@Override
public void sound() {
System.out.println("멍멍!");
}
}
class Cat implements Animal {
@Override
public void sound() {
System.out.println("야옹!");
}
}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Animal myDog = new Dog();
Animal myCat = new Cat();
myDog.sound(); // 멍멍!
myDog.eat(); // 먹는 중입니다.
myCat.sound(); // 야옹!
myCat.eat(); // 먹는 중입니다.
Animal.info(); // 인터페이스의 static 메서드 호출
}
}
0.2 abstract class
:: 미완성 클래스
:: 하나 이상의 추상 메서드 포함 가능
:: 추상 클래스는 객체를 직접 생성 X -> 상속을 통해 사용됨
:: abstract class는 interface와 class의 중간 성격
- 예시
더보기
인터페이스 내 추상 메서드는 구현 x -> 추가적인 구현 메서드들을 만들어 랩핑
abstract class MakingRamen implements RamenProcess {
public void boiling() {
System.out.println("- 라면을 함께 만들어볼까요?");
System.out.printf("1. 첫째로, 물은 %S 을/를 넣을게요.%n", water());
System.out.printf("2. 둘째로, 스프는 %S 을/를 넣을게요. 면보다 스프먼저!%n", soup());
System.out.printf("3. 마지막으로는, 면은 %S 을/를 투척할게요.%n", noodle());
System.out.println("- 자, 다 만들었습니다. 맛있게 드세요.");
}
}
추상 클래스에서 미구현할 경우 이를 상속받는 클래스에서는 반드시 구현해야 함
class MakingSinRamen extends MakingRamen {
public String water() { return "수돗물"; }
public String soup() { return "신라면 스프"; }
public String noodle() { return "건면"; }
}
class MakingJinRamen extends MakingRamen {
public String water() { return "정수물"; }
public String soup() { return "진라면 스프"; }
public String noodle() { return "생면"; }
}
1.abstract class VS inferface
abstract class | inferface | |
목적 | - 클래스 간의 연관 관계 구축 - 하위로 확장하며 구현 - 관련 클래스 간의 공통 기능 제공 |
- 같은 동작을 함을 보장 - 클래스의 동작을 표준화 |
사용 가능한 변수(필드) | 모두 사용 가능 | static final(상수)만 가능 |
사용 가능한 접근 제어자 | public만 가능 | |
사용 가능 메서드 | - abstract method, - default method, - static method, - private method |
|
상속 키워드 | extends | implements |
다중 상속/구현 | X - 다중 상속 | O - 다중 구현 |
공통점 | 1. 추상 메서드를 가짐 2, 인스턴스화 x 3. 인터페이스 or 추상 클래스를 상속 받아 구현한 구현체의 인스턴스를 사용 4. 최하단 자식 메서드의 경우, 반드시 추상 메서드를 구현해야 함 |
2. 사용하는 경우
2.1 추상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
- 상속 받는 클래스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매소드와 필드가 많음
=> 중복 멤버 통합 시, - 멤퍼에 public 이외의 접근자 선언이 필요한 경우
- 요구사항 + 구현 세부 정보의 일부 기능만 지정 시
- 하위 클래스가 오버라이드하여 재정의하는 기능들을 공유하기 위한 상속 개념을 사용 시,
- 명확한 계층 구조가 필요할 경우 - 연관 관계를 명확히
2.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
-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정의 시, 그 구현 방식이나 대상에 대한 추상화가 필요할 경우
- 관련성 없는 클래스들을 묶을 때(형제 관계)
- 다중 상속을 통한 추상화 필요 시 - 마커 인터페이스로 사용
- 클래스와 별도로 구현 객체가 같은 동작을 한다는 것을 보장해야 할 경우
2.3 추상 클래스 + 인터페이스
- 인터페이스의 추상메서드의 일부만 구현 후, 넘겨줄 경우
-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지 못하는 중복된 필드 값을 부여해야할 경우
참조
ASAC 수업자료
출처: 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JAVA-☕-인터페이스-vs-추상클래스-차이점-완벽-이해하기
☕ 인터페이스 vs 추상클래스 용도 차이점 - 완벽 이해
인터페이스 vs 추상클래스 비교 이 글을 찾아보는 독자분들은 아마도 이미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 개념을 학습한 뒤에 이 둘에 대하여 차이의 모호함 때문에 방문 했겠지만, 그래도 다시한번
inpa.tistory.com
->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..
'정리용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기초 6. Generic (0) | 2025.01.23 |
---|---|
[JAVA] 기초 5. Array와 Collection (0) | 2025.01.23 |
[JAVA] 기초 3. 키워드 final, static (0) | 2025.01.23 |
[JAVA] 기초 2. 생성 방법 3가지 - (3) 정적 팩토리 메서드 (0) | 2025.01.23 |
[JAVA] 기초 2. 생성 방법 3가지 - (2) 빌더 (0) | 2025.01.23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useState
- Nginx
- react
- asac7기
- asac7#asac
- useEffect
- useRef
- acas#acas7기
- ssh
- asac#asac7기
- memo
- useCallback
- useLayoutEffect
- useReducer
- ASAC
- acac
- asac7
- git
- useMemo
- useContex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