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리용/java
[JAVA] 기초 7. 키워드 Enum
hee-ya07
2025. 2. 4. 16:44
0. Enum
:: 열거형 - 특정한 집합의 상수들을 정의
:: 상수 값을 관리하는 데이터 타입
:: 상수 값에 이름을 부여 -> 이를 호출하여 사용
- 목적 :: 값의 경우의 수를 제한 -> 파라미터 or 반환 값을 제약
장점 | - 값 제한 -> 타입 안정성 향상 - 코드 가독성 향상 - 확장성 -> 각 상수에 메서드 추가 및 특정 동작 정의 가능 |
단점 | - 고정 값이 정의 -> 추가적인 상수를 동적 정의 X |
1. Enum의 정의와 사용
1.1 기본적인 정의
public enum Day {
MONDAY, TUESDAY, WEDNESDAY, THURSDAY, FRIDAY, SATURDAY, SUNDAY
}
1.2 필드, 생성자, 메서드 추가
:: 각 상수에 특정 값을 할당 및 동작 정의 가능
:: 각 상수에 대해 , 로 연결하되 마지막에서 ; 로 마무리
public enum Day {
MONDAY("Workday"),
TUESDAY("Workday"),
WEDNESDAY("Workday"),
THURSDAY("Workday"),
FRIDAY("Workday"),
SATURDAY("Weekend"),
SUNDAY("Weekend");
private String dayType;
// 생성자
Day(String dayType) {
this.dayType = dayType;
}
// 메서드
public String getDayType() {
return this.dayType;
}
}
1.3 Lombok을 사용하여 간략화
@Getter
@RequiredArgsConstructor
@FieldDefaults(makeFinal = true, level = AccessLevel.PRIVATE)
public enum MessageType {
MONDAY("Workday"),
TUESDAY("Workday"),
WEDNESDAY("Workday"),
THURSDAY("Workday"),
FRIDAY("Workday"),
SATURDAY("Weekend"),
SUNDAY("Weekend");
String dayType;
}
1.4 사용
- 값 접근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Day today = Day.MONDAY;
System.out.println(today); // MONDAY
}
}
- 메서드 사용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Day today = Day.MONDAY;
System.out.println("Today is a " + today.getDayType()); // Today is a Workday
}
}
- switch 문에서 사용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Day today = Day.MONDAY;
switch (today) {
case MONDAY:
case TUESDAY:
case WEDNESDAY:
case THURSDAY:
case FRIDAY:
System.out.println("It's a workday.");
break;
case SATURDAY:
case SUNDAY:
System.out.println("It's a weekend.");
break;
}
}
}
- value()를 통한 Enum 상수들 도출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for (Day day : Day.values()) { // values()는 정의된 모든 상수를 배열로 반환
System.out.println(day);
}
}
}
- valueOf()를 통한 Enum 상수 도출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Day day = Day.valueOf("MONDAY"); // valueOf()는 상수를 지정하여 그 값을 반환
System.out.println(day); // MONDAY
}
}
2. 활용
2.1 전략 패턴 구현
- 전략 패턴(Strategy Pattern)
:: Enum을 통해 특정 동작을 수행 정의
public enum Strategy {
ADDITION {
@Override
public int execute(int a, int b) {
return a + b;
}
},
SUBTRACTION {
@Override
public int execute(int a, int b) {
return a - b;
}
},
MULTIPLICATION {
@Override
public int execute(int a, int b) {
return a * b;
}
};
public abstract int execute(int a, int b);
}
2.2 사용법 심화
1. 분류 정의
@Getter
@RequiredArgsConstructor
@FieldDefaults(makeFinal = true, level = AccessLevel.PRIVATE)
public enum SendMediaType {
SMS("010-0000-0000"),
EMAIL("aaron@example.com");
String sender;
}
2. 사용 분류 정의
@Getter
@RequiredArgsConstructor
@FieldDefaults(makeFinal = true, level = AccessLevel.PRIVATE)
public enum MessageType {
LOVE("사랑합니다.", SendMediaType.SMS),
THANKS("감사합니다.", SendMediaType.EMAIL);
String message;
SendMediaType media;
public static MessageType findByName(String name) {
// for (Element : Collection) = Enhanced For Loop
for (MessageType each : MessageType.values()) { // valuse() :: 상수값들을 배열 반환
if (each.name().equals(name)) {
return each;
}
}
throw new RuntimeException("ENUM 내 존재하지 않는 이름입니다 : " + name);
}
}
3. 활용
public static void createMessage(String type/* LOVE 혹은 THANKS */) {
MessageType messageType = MessageType.findByName(type);
System.out.println("당신에게 메세지를 보냅니다. : " + messageType.getMessage());
System.out.println("다음으로부터 전송되었습니다. : " + messageType.getType().getSender());
}
참조
ASAC 수업자료